728x90

n개의 양수가 있을 때, 이들 수의 곱의 n제곱근 값을 기하평균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 알수 있듯 기하에서 유래 된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combi{\left(\combi{\prod _{i=1}^n\combi{a}_i}\right)}^{\frac{1}{n}}=\combi{\left(\combi{\combi{a}_1}\cdot \combi{\combi{a}_2\combi{\cdot \combi{a}_3}}\cdot \cdot \cdot \combi{\combi{a}_n}\right)}^{\frac{1}{n}}$(ni=1ai)1n=(a1·a2·a3···an)1n
$=\sqrt[n]{\combi{\combi{a}_1}\cdot \combi{\combi{a}_2\combi{\cdot \combi{a}_3}}\cdot \cdot \cdot \combi{\combi{a}_n}}$=na1·a2·a3···an

만약 세 개의 양수 a1, a2, a3가 주어졌다고 하면 세 수의 곱의 세제곱근값이 기하평균인 것이죠. 마찬가지로 n개의 양수 a1, a2, a3 … an이 있을 때, 이들 수의 곱의 n제곱근 값이 기하평균이 됩니다.

아래와 같이 가로 16m, 세로 2m, 높이 2m 크기의 직육면체가 있습니다.

이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면 16x2x2=64㎥가 된다.

이 직육면체와 부피가 같은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정육면체의 부피는 x3이 됩니다. 

이때 x의 값을 구하기 위해 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combi{x}^3=64$x3=64
$x=\sqrt[3]{64}$x=364
$x=4$x=4

 

이렇게 한 모서리의 길이가 4m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면, 4x4x4=64㎥로 직육면체의 부피와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 4를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인 16, 2, 2라는 세 수의 기하평균이라 합니다.

기하평균은 넓이, 부피, 비율 등 곱으로 이루어지는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직사각형의 넓이를 결정하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기하평균은 동일한 넓이의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의미하고, 직육면체의 부피를 결정하는 가로, 세로, 높이 세 값의 기하평균은 동일한 부피의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이를 응용하면 최근 3년간의 물가상승률의 기하평균을 구함으로써, 한 해의 평균적인 물가상승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물건의 값이 처음에 1000원 이고, 첫 해에 10% 증가하고, 그 다음 해에 20% 증가하고, 그 다음 해에 15% 감소했다고 할 때 결과 값은 처음의 값 1000원에 1.1, 1.2, 0.85의 기하평균을 세 번 곱한 값이 됩니다. 

1.1, 1.2, 0.85의 기하평균 (1.1 × 1.2 × 0.85)1/3 = 1.0391...이므로, 3년동안 평균 3.91%씩 증가한 셈입니다. 

즉, 1000 × 1.1 × 1.2 × 0.85 = 1000 × (1.0391)3 입니다.

 

반응형
728x90

6368_5213_3353.jpg
  • 오른쪽 정렬
    왼쪽 정렬
    가운데 정렬
  •  
  • 작게
    문서 너비
    옆트임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수학에서 산술 평균은 주어진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n개의 수 a1, a2, a3, …, an가 있을 때, 이 수의 산술평균 A는 다음과 같습니다.

 

A=1nnk=1ak=a1+a2+a3+···+ann

예를 들어 수학시험을 4회 실시한 점수가 84점, 82점, 92점, 78점일 때, 수학 점수의 산술평균 A는

 
$A=\frac{84+82+92+78}{4}$A=84+82+92+784
$=\frac{336}{4}$=3364
$=84$=84

84점이라는 산술평균을 갖는 것입니다.

산술평균이라는 용어를 몰라도 이미 초등학교 때부터 써오던 그 평균인 것입니다.

 

반응형
728x90

평균은 수학에서 두 가지 서로 연관된 뜻이 있습니다.

평균은 average로 이와 유사하지만 통계집단의 특성을 한 개의 수치로 나타내는 대푯값의 일종인 평균(mean)이 있는데, 여기에는 평균값을 얻는 방법에 따라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이 있습니다.

보통 평균이라고 부르는 것은 산술 평균입니다. 기하 평균이나 조화 평균과는 구별됩니다. 이 평균은 표본 평균이라고도 합니다.

확률변수의 기댓값. 모평균이라고도 합니다.

평균은 통계학뿐만 아니라 기하학이나 해석학에서도 쓰입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통계학에서는 그다지 많이 쓰이지 않는 다양한 평균이 고안되었죠. 이러한 평균에 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설명 하겠습니다.

표본 평균은 대푯값으로 많이 쓰입니다.

자료 집합에 대한 평균은 단순히 모든 관측값을 더해서 관측값 개수로 나눈 값입니다.

일단 자료 집합의 공통성을 이렇게 설명하기로 하면, 관측값이 어떻게 다른지 설명하는 데는 보통 표준편차를 사용합니다.

표준편차는 (평균에 대한) 편차 제곱을 평균한 값의 제곱근 값입니다.

평균은 편차 제곱의 합이 최소가 되는 값입니다.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 외에도 여러가지의 평균이 있지만, 자주 사용하게 될 산술평균, 기하평균, 조화평균을 다뤄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10. 어느 음식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80%는 A메뉴를 주문한다고 한다. 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100명 을 임의 추출하여 조사할 때, A메뉴를 주문하지 않을 비율이 26% 이상일 확률을 아래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구한 것은? [5.0점]

Z

P ( 0 ≤ Z ≤ x )

0.5

0.1915

1.0

0.3413

1.5

0.4332

2.0

0.4772

 

sol) 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A메뉴를 주문하지 않을 확률은 1-0.8 = 0.2 그러므로 이 음식점을 이용한 고객 중 임의 추출한 100명에서 A메뉴를 주문하지 않을 비율을 p라 하면,

$E\left(\hat{p}\right)=0.2,\ V\left(\hat{p}\right)=\frac{0.2\times 0.8}{100}=\combi{0.04}^2$E(^p)=0.2, V(^p)=0.2×0.8100=0.042

이므로 표본비율 p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 N(0.2, 0.042)을 따른다.

이때

$Z=\frac{\hat{p}-0.2}{0.04}$Z=^p0.20.04

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근사적으로 표준정규분포 N(0,1)을 따르므로 구하는 확률은

$P(\hat{p}\ge 0.26)$P(^p0.26)

$=P(Z\ge \frac{0.26-0.2}{0.04})$=P(Z0.260.20.04)

$=P(Z\ge 1.5)$=P(Z1.5)

$=0.5-0.4332$=0.50.4332

$=0.0668$=0.0668

반응형
728x90

4. 서로 다른 주사위 2개를 동시에 던질 때, 나온 두 눈의 수의 곱이 홀수이면 수직선 위에서 오른쪽으로 3칸, 짝수이면 왼쪽으로 1칸 움직인다고 한다. 원점에서 출발하여 이 시행을 48번 반복할 때, 위치가 -4 이상일 확률을 위의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구하면? [5.0점] 

z

P( 0 ≤ Z ≤ x )

1/3

0.1293

2/3

0.2454

4/3

0.4082

sol) 두 눈의 수의 곱이 홀수가 나오는 경우는 (1,1), (1,3), (1,5), (3,1), (3,3), (3,5), (5,1), (5,3), (5,5) 9개 입니다.

두 눈의 수의 곱이 홀수가 나오는 횟수를 확률변수X라 하면 

확률변수 X는 이항분포

을 따르므로 X는 근사적으로 정규분포 N(12, 32 ) 따른다.

두 눈의 수의 곱이 홀수인 경우의 수가 X이면 짝수인 경우의 수는 48-X이므로 수직선상에서의 위치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