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qrt{1}=1$1=1
$\sqrt{4}=2$4=2
$\sqrt{9}=3$9=3
$\sqrt{16}=4$16=4
$\sqrt{25}=5$25=5
$\sqrt{36}=6$36=6
$.$.
$.$.
$.$.
$\sqrt{100}=10$100=10
$$

이런 모습의 제곱근은 소인수 분해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곱근 표의 근사치 값들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그걸 다 외울 수도 없고 그 근사치값을 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qrt{17}\approx 4.XXX$174.XXX

① 근호안의 숫자를 소수점을 기준으로 두 자리씩 나눕니다. 102 = 100 이므로 두자리 씩 나누는것입니다.

$\sqrt{17\ .\ 00\ 00\ 00\ 00\ 00}$17 . 00 00 00 00 00

② 소수점 두 자리씩의 숫자의 맨 왼쪽 수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의 제곱근을 찾습니다.

52 = 25, 42 = 16이므로, 17을 넘지 않는 최대의 제곱근은 4입니다. 아래와 같이 4를 17위에 적고, 왼쪽에 4를 적고, 그 밑에 똑같이 4를 적습니다. 그리고 두 수를 더한값 8을 아래에 적습니다.

$\ \begin{grid}\cell{0000}&\cell{0000}4&\cell{0000}&\cell{0000}\\\cell{0010}+&\cell{0010}4&\cell{0010}&\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cell{0000}\end{grid}\ \ \ \ \ \ \ \ \ \ \ \ \ \ \begin{grid}\cell{0000}\ &\cell{0010}4&\cell{0010}&\cell{0010}\\\cell{0100}&\cell{0000}17&\cell{0000}00&\cell{0000}00\\\cell{0000}\ &\cell{0010}16&\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1&\cell{0000}00&\cell{0000}\\\cell{0000}\ &\cell{0010}&\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cell{0000}&\cell{0000}\end{grid}$ 
4
+4
8
              
 4
170000
 16
 100
 
 

③ 위 그림에서 처럼 17-16=1 적습니다.

④ 8×가 100을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찾습니다. 82×2=164가 되므로 =1입니다. 이 1을 소숫점을 기준으로 나눈 자릿수에 마추어 적어줍니다.

$\ \begin{grid}\cell{0000}&\cell{0000}4&\cell{0000}\\\cell{0010}+&\cell{0010}4&\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1\\\cell{0010}+&\cell{0010}&\cell{0010}1\\\cell{0000}&\cell{0000}8&\cell{0000}2\end{grid}\ \ \ \ \ \ \ \ \ \ \ \ \ \ \begin{grid}\cell{0000}\ &\cell{0010}4&\cell{0010}1&\cell{0010}\\\cell{0100}&\cell{0000}17&\cell{0000}00&\cell{0000}00\\\cell{0000}\ &\cell{0010}16&\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1&\cell{0000}00&\cell{0000}\\\cell{0000}\ &\cell{0010}&\cell{0010}81&\cell{0010}\\\cell{0000}\ &\cell{0000}&\cell{0000}19&\cell{0000}00\end{grid}$ 
4
+4
81
+1
82
              
 41
170000
 16
 100
 81
 1900

⑤ 19의 오른쪽에 소숫점 두 자리 수를 내려 1900이라 적습니다. 822×2=1644, 823×3=2469이므로 윗줄 1 뒤에 2를 적습니다. 그러면 4.12가 됩니다.

$\begin{grid}\cell{0000}&\cell{0000}4&\cell{0000}&\cell{0000}\\\cell{0010}+&\cell{0010}4&\cell{0010}&\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1&\cell{0000}\\\cell{0010}+&\cell{0010}&\cell{0010}1&\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2&\cell{0000}2\\\cell{0010}&\cell{0010}&\cell{0010}&\cell{0010}2\\\cell{0000}&\cell{0000}8&\cell{0000}2&\cell{0000}4\end{grid}\ \ \ \ \ \ \ \ \ \ \ \ \ \ \begin{grid}\cell{0000}\ &\cell{0010}4&\cell{0010}1&\cell{0010}2&\cell{0010}\\\cell{0100}&\cell{0000}17&\cell{0000}00&\cell{0000}00&\cell{0000}\\\cell{0000}\ &\cell{0010}16&\cell{0010}&\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1&\cell{0000}00&\cell{0000}&\cell{0000}\\\cell{0000}\ &\cell{0010}&\cell{0010}81&\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cell{0000}19&\cell{0000}00&\cell{0000}\\\cell{0000}&\cell{0000}&\cell{0000}16&\cell{0000}44&\cell{0000}\end{grid}$
4
+4
81
+1
822
2
824
              
 412
170000
 16
 100
 81
 1900
1644

이같은 방법으로 더 근사한값을 구할수도 있고 다른 제곱근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728x90

그렇다면 산술평균과 기하평균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재미있게도 산술평균이 항상 기하평균 보다 크거나 같습니다.

즉, 산술평균 ≥ 기하평균

이 부등식은 절대부등식입니다.

절대부등식은 항상 성립하는 등식인 항등식 처럼 항상성립하는 부등식을 말합니다.

이때 등호는 변수들이 같을 때이며, 변수는 항상 양수입니다.

$\frac{a+b}{2}\ge \sqrt{ab}$
$$


대수적 증명


$임의의양수\ a,\ b에\ 대하여,$ a, b ,
$\frac{a+b}{2}-\sqrt{ab}=\frac{a-2\sqrt{ab}+b}{2}$


함수적 증명

그래프로 살펴보면,

함수 f의 그래프가 함수 g의 그래프보다 항상 크거나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f(x)=g(x)는 x=1일때 임을 알수 있습니다.

기하적 증명

$\overline {BE}=a,\ \overline {ED}=b\ 라하면,$


$원의반지름\ r=\frac{a+b}{2}$



$\righttriangle BCD와\ \righttriangle BFD는원에\ 내접하는\ $BCD BFD  
$직각삼각형이다.$형입니.
$이때,\ $, 
$\overline {CE}\ ,\overline {FO}는\ 직각삼각형의높이로



$\overline {FO}가\ 높이의최댓값이다.$
\overline {FO}=\sqrt{ab}=r=\frac{a+b}{2}$



반응형
728x90

의의 실수 a, b, x, y 에 대하여 부등식

$\left(a^2+b^2\right)\left(x^2+y^2\right)\ge \left(ax+by\right)^2$(a2+b2)(x2+y2)(ax+by)2

이 항상 성립한다. 이 부등식은 코시(Cauchy, A. L. ; 1789 ~ 1857)에 의해 제시되고 슈바르츠(Schwarz, H. A. ; 1843 ~ 1921)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기에, 그들의 이름을 따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라고 한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매우 강력한 부등식으로, 다양하게 일반화되고 있으며 선형대수학, 해석학, 확률론 등 여러 수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산술평균-기하평균 부등식은 양수의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데 비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실수, 복소수, 벡터 등 더 넓은 범위에서 성립한다.

임의의 실수 a, b, x, y 에 대하여 부등식

$\left(a^2+b^2\right)\left(x^2+y^2\right)\ge \left(ax+by\right)^2$(a2+b2)(x2+y2)(ax+by)2

이 성립한다. 단, 등호는

$ay-bx=0$aybx=0

일 때 성립한다.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left(a^2+b^2\right)\left(x^2+y^2\right)-\left(ax+by\right)^2$(a2+b2)(x2+y2)(ax+by)2
$=a^2x^2+a^2y^2+b^2x^2+b^2y^2-\left(a^2x^2+2abxy+b^2y^2\right)$=a2x2+a2y2+b2x2+b2y2(a2x2+2abxy+b2y2)
$=a^2y^2-2abxy+b^2x^2$=a2y22abxy+b2x2
$=\left(ay-bx\right)^2\ge 0$=(aybx)20

이므로

$\left(a^2+b^2\right)\left(x^2+y^2\right)\ge \left(ax+by\right)^2$(a2+b2)(x2+y2)(ax+by)2

이 성립한다.단, 등호는

$ay-bx=0$aybx=0

일 때 성립한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기하학적 증명

앞서 나온 대수적인 증명은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증명할 때 널리 사용된다.

이와 다르게 로저 넬슨(Nelson, R. B.)은 도형을 이용하여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성립함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기하적 증명 방법(geometric proof)을 제시하였다.

 

(a) (b)

(a)의 하얀색 평행사변형은 변의 길이가 각각

$\sqrt{a^2+b^2},\ \sqrt{x^2+y^2}\ $a2+b2, x2+y2 

인 직각삼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네 직각삼각형과 하얀색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진 큰 직사각형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left|\combi{a}\right|+\left|y\right|,\ \ \left|\combi{b}\right|+\left|x\right|$|a|+|y|,  |b|+|x|

이므로 큰 직사각형의 넓이는

$S=\left(\left|\combi{a}\right|+\left|y\right|\right)\left(\ \left|\combi{b}\right|+\left|x\right|\right)$S=(|a|+|y|)( |b|+|x|)

이다. 이때 (a)의 넓이는 (b)의 넓이 보다 항상 작거나 같다.

∵ 4개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a)일때와 (b)일때 변함이 없지만 (a)의 평행사각형의 넓이는 (b)의 직사각형의 넓이 보다 작거나 같다.

(a)의 평행사각형의 넓이는

$\sqrt{a^2+b^2}\ \sqrt{x^2+y^2}\sin \theta $a2+b2 x2+y2sinθ
$\ \ \ \ \ \ \ \ \ \ \ \ \ \ \sin \theta \le 1$              sinθ1

(b)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sqrt{a^2+b^2}\ \sqrt{x^2+y^2}$a2+b2 x2+y2

이다.

(a)와 (b)의 넓이를 비교하면

$\left(\left|\combi{a}\right|+\left|y\right|\right)\left(\ \left|\combi{b}\right|+\left|x\right|\right)\le 2\left(\combi{\frac{1}{2}\left|\combi{a}\right|\left|\combi{b}\right|+\frac{1}{2}\left|\combi{x}\right|\left|\combi{y}\right|}\right)+\sqrt{a^2+b^2}\sqrt{x^2+y^2}$(|a|+|y|)( |b|+|x|)2(12|a||b|+12|x||y|)+a2+b2x2+y2
$\left|\combi{a}\right|\left|\combi{x}\right|+\left|b\right|\left|y\right|\le \sqrt{a^2+b^2}\sqrt{x^2+y^2}$|a||x|+|b||y|a2+b2x2+y2

삼각부등식에 의하여

$\left|\combi{ax+by}\right|\le \left|\combi{a}\right|\left|\combi{x}\right|+\left|\combi{b}\right|\left|\combi{y}\right|$|ax+by||a||x|+|b||y|

이 성립하므로

$\left|\combi{ax+by}\right|\le \left|\combi{a}\right|\left|\combi{x}\right|+\left|\combi{b}\right|\left|\combi{y}\right|\le \sqrt{a^2+b^2}\sqrt{x^2+y^2}$|ax+by||a||x|+|b||y|a2+b2x2+y2

가 성립한다.

 

 

반응형
728x90

임의의 양의 실수 x1, x2,…,xk 에, 대하여

$\frac{k}{\frac{1}{x_1}+\frac{1}{x_2}+\cdot \cdot \cdot +\frac{1}{x_k}}\le \sqrt[k]{x_1x_2\cdot \cdot \cdot x_k}\le \frac{x_1+x_2+\cdot \cdot \cdot +x_k}{k}$k1x1+1x2+···+1xkkx1x2···xkx1+x2+···+xkk

이 성립한다.

임의의 양의 실수 a, b에 대하여, 실수의 제곱의 성질에 의하여,

가 성립한다.

$\left(\combi{a+b}\right)^2-4ab=\left(\combi{a-b}\right)^2\ge 0$(a+b)24ab=(ab)20
$\left(\combi{a+b}\right)^2\ \ge \ 4ab$(a+b)2  4ab
$a+b\ge \sqrt[2]{ab}$a+bab

ex) 양수 a, b에 대하여 ab=16이다. a+b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sol)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에 의하여

$$
$a+b\ge 2\sqrt{ab}$a+b2ab
$\therefore a+b\ge 8$a+b8

이다.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8이다.

 

임의의 양의 실수 x1, x2,…,xk 에, 대하여

$\frac{k}{\frac{1}{x_1}+\frac{1}{x_2}+\cdot \cdot \cdot +\frac{1}{x_k}}\le \sqrt[k]{x_1x_2\cdot \cdot \cdot x_k}\le \frac{x_1+x_2+\cdot \cdot \cdot +x_k}{k}$k1x1+1x2+···+1xkkx1x2···xkx1+x2+···+xkk

 

이 성립한다.

임의의 양의 실수 a, b에 대하여, 실수의 제곱의 성질에 의하여,

가 성립한다.

$\left(\combi{a+b}\right)^2-4ab=\left(\combi{a-b}\right)^2\ge 0$(a+b)24ab=(ab)20
$\left(\combi{a+b}\right)^2\ \ge \ 4ab$(a+b)2  4ab
$a+b\ge \sqrt[2]{ab}$a+bab

ex) 양수 a, b에 대하여 ab=16이다. a+b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sol)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에 의하여

$$
$a+b\ge 2\sqrt{ab}$a+b2ab
$\therefore a+b\ge 8$a+b8

이다.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8이다.

 

반응형
728x90

주어진 집합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항상 성립하는 부등식을 절대부등식이라고 합니다.

실수의 집합에서 성립하는 절대부등식

a, b가 실수일 때,

$①\ a>b\ ⟺\ a−b>0$ a>b  ab>0

$②\ a^2\ge 0$ a20

$③\ a^2+b^2\ge 0$ a2+b20

$④\ a^2+b^2=0\ ⟺\ a=b=0$ a2+b2=0  a=b=0

$⑤\ |a|^2=a^2,\ |a||b|=|ab|,\ |a|\ge a$ |a|2=a2, |a||b|=|ab|, |a|a

$⑥\ a>0,b>0일때,\ a>b\ ⟺\ a^2>b^2$ a>0,b>0, a>b  a2>b2

실수의 제곱

임의의 실수 x에 대하여

$x^2\ge 0$x20

이 성립한다. 이때, 등호는 x=0일 때만 성립합니다.

일반적으로 n개의 실수 x1, x2, …, xn에 대하여

$x_1^2+x_2^2+\cdot \cdot \cdot +x_n^2\ge 0$x21+x22+···+x2n0

이 성립합니다. 등호는 x1= x2= …= xn=0 일 때 성립합니다.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완전 제곱식을 만들어 이용하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다음의 절대 부등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a, b, c가 실수 일때

$①\ a^2+ab+b^2\ge 0$ a2+ab+b20

$②\ \ a^2-ab+b^2\ge 0$  a2ab+b20

(단, 등호는 a = b = 0일 때 성립)

$③\ a^2+b^2+c^2-ab-bc-ca\ge 0$ a2+b2+c2abbcca0

(단, 등호는 a = b = c 일 때 성립)

$⑤\ |a|+|b|=|a+b|$ |a|+|b|=|a+b|

$⑥\ |a−b|\ge |a|−|b|$ |ab||a||b|

(단, 등호는 ab ≥ 0 일 때 성립)

 

반응형
728x90

수학에서, 다각수(多角數, 영어: polygonal number)는 삼각수와 정사각수를 임의의 정다각형에까지 일반화하여 얻는 평면 도형수입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피타고라스학파는 “모든 것은 수이다”라 생각하여 모든 것을 수와 관련지어 생각했습니다. 심지어 도형도 숫자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그 도형과 수와의 관계도 연구하였습니다.

기하학적으로 다각수는 정다각형에 배열된 공의 수를 나타냅니다. 주어진 다각수 바로 다음에 오는 다각수를 얻으려면 다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를 늘려 원래와 닮은 새로운 다각형으로 확장하면 됩니다. 이 경우 늘리려는 두 변에 각각 한 개의 공이 추가되며, 새로운 다각형의 남은 변을 만들기 위한 공들 역시 추가됩니다. 이렇게 추가되는 부분을 다각수의 그노몬(영어: gnomon)이라고 부릅니다. 대수학적으로, 다각수는 1에서 시작하는 자연수 공차의 등차 수열의 부분합을 나타내며, 그노몬은 이 등차 수열의 각 항에 대응합니다.

먼저 삼각수를 보겠습니다.

삼각수는 간단히 말하자면, 동일한 물건을 정삼각형 모양으로 배열해서 나타낼 수 있는 수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 때 각각의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즉 1, 3, 6, 10, 15···에서 각각의 수가 삼각수에 해당하지요.

삼각수(Triangular number)

그럼 사각수는 어떤 것일까? 사각수는 말 그대로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해서 나타낼 수 있는 수랍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때 각각의 정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즉 1, 4, 9, 16, 25···에서 각각의 수가 사각수에 해당합니다.

사각수(Square number)

위의 삼각수와 사각수를 이해했다면 오각수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오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 때 각각의 정오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1, 5, 12, 22, 35, ···에서 각각의 수가 오각수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오각수(Pentagonal number)
육각수(Hexagonal number)

다각수의 첫 항은 1로 모두 같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첫 항을 제외하고 그 다음으로 삼각수와 사각수가 같아지는 항들을 찾을 수 있을까요? 일반항을 이용하면 8번째 삼각수가 36이므로 6번째 사각수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삼각수이면서 동시에 사각수인 수를 모두 찾을 수있을까요? 더 나아가 사각수이면서 동시에 오각수인 수를 찾을 수 있을까요? 또 그 개수는 얼마나 많을까요? 먼저 삼각수와 사각수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m번째 삼각수와 n번째 사각수가 같다고 하면,

이 되고, 완전제곱식의 형태로 고쳐 봅니다.

여기서,

라고 하면,

(단, x, y >0 이고 x는 홀수, y 는 짝수)

의 자연수해를 구하는 문제로 바뀐다. 이 방정식을 펠의 방정식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