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빨간색 부분의 넓이를 구해보자.

댓글로 풀이와 답을 남겨 주세요.

반응형
728x90

황도12궁

각의 크기,즉 각도를 측정하는 일반적 단위는 바빌로니아인들에 의해 만들어 졌다고 알려져 있는데,어떤 사람이 달력으로 쓰던 원둘레를 반지름으로 나누어 보았

더니 마치 60일 분을 표시해 둔 곳의 길이와 반지름의 길리와 같았고 계속해서 그 원의 둘레를 반지름으로 나누어 보니 알맞게도 6번으로 나누어지고 원래의 위치에

되돌아 올 수 있었습니다.그리하여 원둘레의 반지름의 길이로 자르면 6등분이 된다는 사실과 또 6등분을 한 하나의 호가 60일분을 표시한 것과 같은 길이임을 확실하게 알게 되었던 것이죠. 그리고다음에는 어떤원에서도 원둘레의 1/6에 해당하는 호의 양끝과 원의 중심을 이어 생긴,두 반지름 사이의 각은 모두 같은 것임을 알게 되

었고 나아가 이런 각을 조사해 보았더니 반대로,원둘레에 그려진 60일 분의 크기와 같았습니다.

그래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호에 대응하는 것의 크기는 항상 같음을 알게 되었고 이와 같은 각을 6개,차례로 붙여보면 마치 하나의 원이 되므로 원은 360이고 이360구분의 하나하나를 각이라도 이름을 지었다고합니다.

이전 포스팅에도 언급한 바가 있으니 한번 찾아보시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여기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이런 360도 분할은 바빌로니아의 60진법에 잘 맞았고,나중에는 그리스인들에 의해 도입되어 프톨레마이오스가 현에 관한 표를 만드는데 사용되었습니다.

수체계로서의 60진법은 현대 쓰이고 있지 않지만,원의 360도 분할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이런 원의 각은 분할 외에도 1시간을 60으로 나누고 1분을 60초로 나누는데 60진법의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반응형
728x90

원에 내접하는 사각형의 두 대각선의 길이의 곱이 두 쌍의 대변의 길이의 곱의 합과 같다는 정리이다. 톨레미 정리라고도 한다.

$\overline {AC}\times \overline {BC}=\overline {AB}\times \overline {CD}+\overline {BC}\times \overline {AD}$AC×BC=AB×CD+BC×AD

∠CAD=∠BAE가 되도록 선분BD 위에 점 E를 잡습니다. ∠ABD와 ∠ACD는 원주각으로 서로 같습니다.

∴ △ADE 와 △ACB가 서로 닮음.

$\therefore \ \overline {AD}:\overline {DE}=\overline {AC}:\overline {BC}$ AD:DE=AC:BC

$\therefore \ \overline {AD}\times \overline {BC}=\overline {DE}\times \overline {AC}\ \ ...\ \left(1\right)\ $ AD×BC=DE×AC  ... (1) 

또, △ABE 와 △ACD도 서로 닮음.

$\therefore \ \overline {AB}:\overline {BE}=\overline {AC}:\overline {CD}$ AB:BE=AC:CD

$\therefore \ \overline {AB}\times \overline {CD}=\overline {BE}\times \overline {AC}\ \ ...\ \left(2\right)\ $ AB×CD=BE×AC  ... (2) 

(1)+(2)

$\therefore \ \overline {AC}\times \left(\overline {BE}+\overline {DE}\right)=\overline {AB}\times \overline {CD}\ +\overline {AD}\times \overline {BC}\ $ AC×(BE+DE)=AB×CD +AD×BC 

$\overline {BE}+\overline {DE}=\overline {BD}이므로$BE+DE=BD

$\ \ \ \ \ \overline {AC}\times \overline {BD}=\overline {AB}\times \overline {CD}\ +\overline {AD}\times \overline {BC}$     AC×BD=AB×CD +AD×BC

가 성립합니다.

 

반응형
728x90

▶ 두변의 길이와 끼인각의 크기를 이용

-예각삼각형

 

아래의 삼각형과 같이 선분 b,c그리고 그사이 끼인각 ∠α가 주어 졌을 때 △ABC의 넓이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중학3학년 삼각비과정에서 배우고

나면 자주 사용하는 방법으로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는 다른 방법의 근간이 되는 방법입니다.

삼각형넓이가 사각형넓이의 반이 된다는 방법으로 유도된

$A=\frac{1}{2}ch$A=12ch

에서 높이h를 삼각함수로 구하는 방법입니다.

꼭지점 C에서 변c로 수선의 발을 내려 만나는 점을 H라하고 선분CH는 높이h가 됩니다.

 
$\sin \alpha =\frac{h}{b}$sinα=hb
$h=\sin \alpha \times b$h=sinα×b
$A=\frac{1}{2}bc\sin \alpha $A=12bcsinα

한변의 길이와 양끝각의 크기를 이용

-예각삼각형

한변의 길이c와 양끝각 α,β가 주어 졌을 때

C에서 선분 AB에 수선의 발을 내리고 그 교점을 H라 하면, △ABC의 높이는 h가 됩니다.

$∠ACH=90-α,\ ∠BCH=90-β$ACH=90α, BCH=90β

가 됩니다.

△ACH에서 기준각을∠ACH로 하면 선분CH는 밑변이 되고 선분AH는 높이가 됩니다.

△BCH에서 기준각을 ∠BCH로 하면 선분BH는 밑변이 되고 선분BH는 높이가 됩니다.

 
$\tan \left(90-\alpha \right)=\frac{\overline {AH}}{h}$tan(90α)=AHh
$\overline {AH}=h\tan \left(90-\alpha \right)$AH=htan(90α)
$\tan \left(90-\beta \right)=\frac{\overline {BH}}{h}$tan(90β)=BHh
$\overline {BH}=h\tan \left(90-\beta \right)$BH=htan(90β)
$$

△ABC에서

 
$\overline {AB}=\overline {AH}+\overline {BH}$AB=AH+BH
$=h\tan \left(90-\alpha \right)+h\tan \left(90-\beta \right)$=htan(90α)+htan(90β)
$=h\left\{\tan \left(90-\alpha \right)+\tan \left(90-\beta \right)\right\}$=h{tan(90α)+tan(90β)}
$\therefore \ h=\frac{\overline {AB}}{\left\{\combi{\tan \left(90-\alpha \right)+\tan \left(90-\beta \right)}\right\}}$ h=AB{tan(90α)+tan(90β)}

∴△ABC의 넓이

 
$A=\frac{1}{2}c\frac{c}{\left\{\combi{\tan \left(90-\alpha \right)+\tan \left(90-\beta \right)}\right\}}$A=12cc{tan(90α)+tan(90β)}
$=\frac{c^2}{2\left\{\combi{\tan \left(90-\alpha \right)+\tan \left(90-\beta \right)}\right\}}$=c22{tan(90α)+tan(90β)}

두변의 길이와 끼인각의 크기를 이용

-둔각삼각형

예각삼각형과 달리 둔각삼각형에서는 두변의 길이와 끼인각의 크기를 알 때, A에서 내린 수선이 삼각형의 바깥쪽에 내려져 선분BC의 연장선과 만나게 됩니다.

그 교점을 H라 하면, 선분AH가 △ABC의 높이가 됩니다.

삼각형의 넓이는 둔각삼각형이든 예각 삼각형이든 상관없이 밑변의 길이와 높이만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앞에서 공부했던 삼각형 넓이 구하는 방법은 <하양짱샘수학>삼각형의 넓이구하기 ①밑변의 길이와 높이를 이용에서 공부한 바 있습니다.

둔각△ABC에서 선분AH를 구하면 넓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선분AH는 △ABH에서 삼각비를 이용하면 구할수 있겠죠?

$\sin \left(180-\alpha \right)=\frac{\overline {BH}}{\overline {AH}}=\frac{h}{c}$sin(180α)=BHAH=hc
$h=c\sin \left(180-\alpha \right)$h=csin(180α)
$A=\frac{1}{2}ac\sin \left(180-\alpha \right)$A=12acsin(180α)

한변의 길이와 양끝각의 크기를 이용

-둔각삼각형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점A에서 선분BC의 연장선에 수선을 내립니다.

△AHC에서

 
$\angle CAH=90\cir -\alpha $CAH=90°α
$\tan \left(90\cir -\alpha \right)=\frac{\overline {CH}}{\overline {AH}}=\frac{\overline {CH}}{h}$tan(90°α)=CHAH=CHh
$\overline {CH}=h\tan \left(90\cir -\alpha \right)$CH=htan(90°α)

△AHB에서

 
$\angle ABH=180\cir -\beta $ABH=180°β
$\angle BAH=180\cir -90\cir -\left(180\cir -\beta \right)$BAH=180°90°(180°β)
$=\beta -90\cir $=β90°
$$
$\tan \left(\beta -90\cir \right)=\frac{\overline {BH}}{\overline {AH}}=\frac{\overline {BH}}{h}$tan(β90°)=BHAH=BHh
$\overline {BH}=h\tan \left(\beta -90\cir \right)$BH=htan(β90°)
$$
$\overline {BC}=\overline {CH}-\overline {BH}$BC=CHBH
$\ \ \ \ a=h\tan \left(90\cir -\alpha \right)-h\tan \left(\beta -90\cir \right)$    a=htan(90°α)htan(β90°)
$\ \ \ \ \ =h\left\{\combi{\tan \left(90\cir -\alpha \right)-\tan \left(\beta -90\cir \right)}\right\}$     =h{tan(90°α)tan(β90°)}
$h=\frac{a}{\left\{\tan \left(90\cir -\alpha \right)-h\tan \left(\beta -90\cir \right)\right\}}$h=a{tan(90°α)htan(β90°)}
$$

∴ △ABC의 넓이

 

 
$A=\frac{1}{2}a\frac{a}{\left\{\tan \left(90\cir -\alpha \right)-h\tan \left(\beta -90\cir \right)\right\}}$A=12aa{tan(90°α)htan(β90°)}
$=\frac{a^2}{2\left\{\tan \left(90\cir -\alpha \right)-h\tan \left(\beta -90\cir \right)\right\}}$=a22{tan(90°α)htan(β90°)}

 

반응형
728x90

삼각형의 세변의 길이를 알때 헤론의 공식을 이용해 삼각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A=\sqrt{\left(s\left(s-a\right)\left(s-b\right)s-c\right)}$A=(s(sa)(sb)sc)
$여기서,\ s=\frac{a+b+c}{2}$, s=a+b+c2

s를 대입하여 A를 표현하면,

$A=\frac{1}{4}\sqrt{\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A=14(a+b+c)(a+b+c)(ab+c)(a+bc)
$A=\frac{1}{4}\sqrt{2\left(\combi{a}^2\combi{b}^2+\combi{a}^2c^2+b^2c^2\right)-\left(\combi{a}^4+b^4+\combi{c}^4\right)}$A=142(a2b2+a2c2+b2c2)(a4+b4+c4)
$A=\frac{1}{4}\sqrt{\combi{\left(\combi{a}^2+b^2+\combi{c}^2\right)}^2-2\left(\combi{a}^4+b^4+\combi{c}^4\right)}$A=14(a2+b2+c2)22(a4+b4+c4)
$A=\frac{1}{4}\sqrt{4\combi{a}^2\combi{\combi{b}^2\left(\combi{a}^2+b^2+\combi{c}^2\right)}^2}$A=144a2b2(a2+b2+c2)2
$$

이 된다.

이 공식은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이 그의 저서 《Metrica》에서 증명을 써 놓았기 때문에 헤론의 공식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현재는 공식이 아르키메데스에게서 비롯한 것이거나, 훨씬 이전부터 알고 있었을 수도 있었으리라 여겨지고 있다.

삼각함수를 이용한 증명

$A=\frac{1}{2}ab\sin C\ ...\left(1\right)$A=12absinC ...(1)

에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면,

 
$\combi{c}^2=\combi{a}^2+\combi{b}^2-2ab\cos C$c2=a2+b22abcosC
$\cos C=\frac{\combi{a}^2+\combi{b}^2-\combi{c}^2}{2ab}$cosC=a2+b2c22ab
$\sin ^2C+\cos ^2C=1$sin2C+cos2C=1
$\sin C=\sqrt{1-\cos ^2C}$sinC=1cos2C
$\ \ \ \ \ \ \ \ =\sqrt{\frac{4\combi{a}^2\combi{b}^2-\combi{\left(\combi{a}^2+\combi{b}^2-\combi{c}^2\right)}^2}{4\combi{a}^2\combi{b}^2}}$        =4a2b2(a2+b2c2)24a2b2
$$
$\ \ \ \ \ \ \ \ =\frac{\sqrt{4\combi{a}^2\combi{b}^2-\combi{\left(\combi{a}^2+\combi{b}^2-\combi{c}^2\right)}^2}}{2ab}$        =4a2b2(a2+b2c2)22ab

(1)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A=\frac{1}{2}ab\times \frac{\sqrt{4\combi{a}^2\combi{b}^2-\combi{\left(\combi{a}^2+\combi{b}^2-\combi{c}^2\right)}^2}}{2ab}$A=12ab×4a2b2(a2+b2c2)22ab
$\ \ =\frac{1}{4}\sqrt{4\combi{a}^2\combi{b}^2-\combi{\left(\combi{a}^2+\combi{b}^2-\combi{c}^2\right)}^2}$  =144a2b2(a2+b2c2)2
$\ \ =\frac{1}{4}\sqrt{\combi{\left(2ab\right)}^2-\combi{\left(\combi{a}^2+\combi{b}^2-\combi{c}^2\right)}^2}$  =1422(a2+b2c2)2
$\ \ =\frac{1}{4}\sqrt{\left(2ab-\combi{a}^2-\combi{b}^2+\combi{c}^2\right)\combi{\left(2ab+\combi{a}^2+\combi{b}^2-\combi{c}^2\right)}}$  =14(2aba2b2+c2)2
$\ \ =\frac{1}{4}\sqrt{\left(\combi{c}^2-\left(a-b\right)^2\right)\combi{\left(\left(a+b\right)^2-\combi{c}^2\right)}}$  =14(c2(ab)2)((a+b)2c2)
$\ \ =\frac{1}{4}\sqrt{\left(c-a+b\right)\left(c+a+b\right)\left(a+b-c\right)\left(a+b+c\right)}$  =14(ca+b)(c+a+b)(a+bc)(a+b+c)
$\ \ =\frac{1}{4}\sqrt{\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  =14(a+b+c)(a+b+c)(ab+c)(a+bc)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한 증명

$\righttriangle AHC에서\ \combi{b}^2=\left(a-x\right)^2+h^2\ \cdot \cdot \cdot ①$AHC b2=(ax)2+h2 ···
$\righttriangle AHB에서\ c^2=\combi{x}^2+\combi{h}^2\ \ \ \ \ \ \ \ \ \ \ \ \cdot \cdot \cdot ②$AHB c2=x2+h2            ···
$\righttriangle ABC=\frac{1}{2}ah\ \ \ \ \ \ \ \ \ \ \ \ \ \ \ \ \ \ \ \ \ \ \ \ \ \ \ \ \cdot \cdot \cdot ③$ABC=12ah                            ···
$$
 
$①식-②식$
$b^2-c^2=a^2-2ax+x^2+h^2-\left(x^2+h^2\right)$b2c2=a22ax+x2+h2(x2+h2)
$\ \ \ \ \ \ \ \ \ \ \ \ =a^2-2ax$            =a22ax
$x=\frac{a^2-b^2+c^2}{2a}\ \ \ \ \ \ \ \ \ \ \ \ \ \ \ \ \ \ \ \ \ \ \ \ \cdot \cdot \cdot ④$x=a2b2+c22a                        ···
$④식을\ ②식에\ 대입하면$  
$\ c^2=\left(\frac{a^2-b^2+c^2}{2a}\right)^2+h^2$ c2=(a2b2+c22a)2+h2
$h^2=\ c^2-\frac{\left(a^2-b^2+c^2\right)^2}{4a^2}$h2= c2(a2b2+c2)24a2
$=\ \frac{4a^2c^2-\left(a^2-b^2+c^2\right)^2}{4a^2}\ \ \ \ \ \cdot \cdot \cdot ⑤$= 4a2c2(a2b2+c2)24a2     ···
 
$4a^2h^2=\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4a2h2=(a+b+c)(a+b+c)(ab+c)(a+bc)
$A=\frac{1}{2}ah=\sqrt{\frac{4a^2h^2}{16}}$A=12ah=4a2h216
$=\sqrt{\frac{\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left(a+b-c\right)}{16}}$=(a+b+c)(a+b+c)(ab+c)(a+bc)16
$=\sqrt{s\left(s-a\right)\left(s-b\right)\left(s-c\right)}$=s(sa)(sb)(sc)
 

 

반응형
728x90

수학을 시험을 치르다 보면 방정식문제던 함수 문제던 난이도가 높아 질 수록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라는 문제가 나오는 경우를 자주봅니다.

이번에 초등학교때 배웠던 밑변과 높이를 구할 수 있으면 쉽게 풀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엔 문제를 풀기가 까다로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짱샘과 같이 삼각형 넓이를 구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알아보고 그 증명도 같이 해 봅시다.

$A=\frac{1}{2}bh$

$A=\frac{1}{2}bh$A=12bh

 

초등학교 과정에서 배우는 가장 기초가 되는 삼각형의 넓이 구하는 공식입니다.

이 방법은 넓이의 기본인 사각형의 넓이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삼각형의 넓이가 사각형의 넓이의 반이 된다는 것을 이용한 것이죠.

                                

이 방법에서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가 같으면 넓이가 같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평행한 두 직선 l과 m에서 직선m위의 두점 B,C와 직선l위의 한점으로 만들어지는 삼각형의 넓이는 모두 같습니다.

여기에서 더 생각해 보면

높이가 같은 두 삼각형의 넓이의 비는 밑변의 길이의 비와 같습니다.

 

, BC:CD=m:n 
$\triangle ABC\ :\ \triangle ACD=m:n$ABC : ACD=m:n
$\triangle ABC=\frac{1}{2}mh,\ \triangle ACD=\frac{1}{2}nh이므로$ABC=12mh, ACD=12nh
$\triangle ABC:\triangle ACD=\frac{1}{2}mh:\frac{1}{2}nh=m:n$ABC:ACD=12mh:12nh=m:n
이 됩니다.

 

 

반응형
728x90

좌표 평면 위의 원점(0 , 0)에서 직선

3x-y+2-k(x+y)=0 까지의 거리의 최댓값은? (단, k는 실수이다.)

2007년 교육청 출제 문제입니다.

우선 정석 풀이 부터 보겠습니다.

원점과 직선사이의 거리는

이 거리가 최댓값이 되려면, 분모가 최소가 되어야 하겠죠?

그러므로 원점에서 직선까지의 최댓값은

가 됩니다.

그런데 좀 다르게 생각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임의의 삼각형 ABC 에서 변BC 의 중점을 M이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변 BC가 x 축 위에 있고, 변 BC 의 중점 M 을 원점O 로 하는 좌표평면을 생각해 봅시다. 그러면

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