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의의 실수 a, b, x, y 에 대하여 부등식

$\left(a^2+b^2\right)\left(x^2+y^2\right)\ge \left(ax+by\right)^2$(a2+b2)(x2+y2)(ax+by)2

이 항상 성립한다. 이 부등식은 코시(Cauchy, A. L. ; 1789 ~ 1857)에 의해 제시되고 슈바르츠(Schwarz, H. A. ; 1843 ~ 1921)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기에, 그들의 이름을 따서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라고 한다.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매우 강력한 부등식으로, 다양하게 일반화되고 있으며 선형대수학, 해석학, 확률론 등 여러 수학 분야에서 사용된다.

산술평균-기하평균 부등식은 양수의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데 비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은 실수, 복소수, 벡터 등 더 넓은 범위에서 성립한다.

임의의 실수 a, b, x, y 에 대하여 부등식

$\left(a^2+b^2\right)\left(x^2+y^2\right)\ge \left(ax+by\right)^2$(a2+b2)(x2+y2)(ax+by)2

이 성립한다. 단, 등호는

$ay-bx=0$aybx=0

일 때 성립한다.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left(a^2+b^2\right)\left(x^2+y^2\right)-\left(ax+by\right)^2$(a2+b2)(x2+y2)(ax+by)2
$=a^2x^2+a^2y^2+b^2x^2+b^2y^2-\left(a^2x^2+2abxy+b^2y^2\right)$=a2x2+a2y2+b2x2+b2y2(a2x2+2abxy+b2y2)
$=a^2y^2-2abxy+b^2x^2$=a2y22abxy+b2x2
$=\left(ay-bx\right)^2\ge 0$=(aybx)20

이므로

$\left(a^2+b^2\right)\left(x^2+y^2\right)\ge \left(ax+by\right)^2$(a2+b2)(x2+y2)(ax+by)2

이 성립한다.단, 등호는

$ay-bx=0$aybx=0

일 때 성립한다.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의 기하학적 증명

앞서 나온 대수적인 증명은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증명할 때 널리 사용된다.

이와 다르게 로저 넬슨(Nelson, R. B.)은 도형을 이용하여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이 성립함을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기하적 증명 방법(geometric proof)을 제시하였다.

 

(a) (b)

(a)의 하얀색 평행사변형은 변의 길이가 각각

$\sqrt{a^2+b^2},\ \sqrt{x^2+y^2}\ $a2+b2, x2+y2 

인 직각삼각형으로 둘러싸여 있다.

네 직각삼각형과 하얀색 평행사변형으로 이루어진 큰 직사각형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는 각각

$\left|\combi{a}\right|+\left|y\right|,\ \ \left|\combi{b}\right|+\left|x\right|$|a|+|y|,  |b|+|x|

이므로 큰 직사각형의 넓이는

$S=\left(\left|\combi{a}\right|+\left|y\right|\right)\left(\ \left|\combi{b}\right|+\left|x\right|\right)$S=(|a|+|y|)( |b|+|x|)

이다. 이때 (a)의 넓이는 (b)의 넓이 보다 항상 작거나 같다.

∵ 4개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a)일때와 (b)일때 변함이 없지만 (a)의 평행사각형의 넓이는 (b)의 직사각형의 넓이 보다 작거나 같다.

(a)의 평행사각형의 넓이는

$\sqrt{a^2+b^2}\ \sqrt{x^2+y^2}\sin \theta $a2+b2 x2+y2sinθ
$\ \ \ \ \ \ \ \ \ \ \ \ \ \ \sin \theta \le 1$              sinθ1

(b)의 직사각형의 넓이는

$\sqrt{a^2+b^2}\ \sqrt{x^2+y^2}$a2+b2 x2+y2

이다.

(a)와 (b)의 넓이를 비교하면

$\left(\left|\combi{a}\right|+\left|y\right|\right)\left(\ \left|\combi{b}\right|+\left|x\right|\right)\le 2\left(\combi{\frac{1}{2}\left|\combi{a}\right|\left|\combi{b}\right|+\frac{1}{2}\left|\combi{x}\right|\left|\combi{y}\right|}\right)+\sqrt{a^2+b^2}\sqrt{x^2+y^2}$(|a|+|y|)( |b|+|x|)2(12|a||b|+12|x||y|)+a2+b2x2+y2
$\left|\combi{a}\right|\left|\combi{x}\right|+\left|b\right|\left|y\right|\le \sqrt{a^2+b^2}\sqrt{x^2+y^2}$|a||x|+|b||y|a2+b2x2+y2

삼각부등식에 의하여

$\left|\combi{ax+by}\right|\le \left|\combi{a}\right|\left|\combi{x}\right|+\left|\combi{b}\right|\left|\combi{y}\right|$|ax+by||a||x|+|b||y|

이 성립하므로

$\left|\combi{ax+by}\right|\le \left|\combi{a}\right|\left|\combi{x}\right|+\left|\combi{b}\right|\left|\combi{y}\right|\le \sqrt{a^2+b^2}\sqrt{x^2+y^2}$|ax+by||a||x|+|b||y|a2+b2x2+y2

가 성립한다.

 

 

반응형
728x90

임의의 양의 실수 x1, x2,…,xk 에, 대하여

$\frac{k}{\frac{1}{x_1}+\frac{1}{x_2}+\cdot \cdot \cdot +\frac{1}{x_k}}\le \sqrt[k]{x_1x_2\cdot \cdot \cdot x_k}\le \frac{x_1+x_2+\cdot \cdot \cdot +x_k}{k}$k1x1+1x2+···+1xkkx1x2···xkx1+x2+···+xkk

이 성립한다.

임의의 양의 실수 a, b에 대하여, 실수의 제곱의 성질에 의하여,

가 성립한다.

$\left(\combi{a+b}\right)^2-4ab=\left(\combi{a-b}\right)^2\ge 0$(a+b)24ab=(ab)20
$\left(\combi{a+b}\right)^2\ \ge \ 4ab$(a+b)2  4ab
$a+b\ge \sqrt[2]{ab}$a+bab

ex) 양수 a, b에 대하여 ab=16이다. a+b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sol)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에 의하여

$$
$a+b\ge 2\sqrt{ab}$a+b2ab
$\therefore a+b\ge 8$a+b8

이다.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8이다.

 

임의의 양의 실수 x1, x2,…,xk 에, 대하여

$\frac{k}{\frac{1}{x_1}+\frac{1}{x_2}+\cdot \cdot \cdot +\frac{1}{x_k}}\le \sqrt[k]{x_1x_2\cdot \cdot \cdot x_k}\le \frac{x_1+x_2+\cdot \cdot \cdot +x_k}{k}$k1x1+1x2+···+1xkkx1x2···xkx1+x2+···+xkk

 

이 성립한다.

임의의 양의 실수 a, b에 대하여, 실수의 제곱의 성질에 의하여,

가 성립한다.

$\left(\combi{a+b}\right)^2-4ab=\left(\combi{a-b}\right)^2\ge 0$(a+b)24ab=(ab)20
$\left(\combi{a+b}\right)^2\ \ge \ 4ab$(a+b)2  4ab
$a+b\ge \sqrt[2]{ab}$a+bab

ex) 양수 a, b에 대하여 ab=16이다. a+b의 최솟값을 구하여라.

sol)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에 의하여

$$
$a+b\ge 2\sqrt{ab}$a+b2ab
$\therefore a+b\ge 8$a+b8

이다.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8이다.

 

반응형
728x90

를 헤르만 아만두스 슈바르츠(1843~1921)는 독일의 수학자이다. 복소해석학에 공헌하였고,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을 발견하였다.

1843년 1월 25일 당시 프로이센에 속해 있던 실레시아 예주마노바에서 태어났다.

베를린 공과대학교에서 처음에 화학을 공부하였으나, 에른스트 쿠머와 카를 바이어슈트라스를 만난 뒤 수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1867년~1869년 사이에 할레 대학교에서 일하였고, 그 뒤 스위스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로 갔다.

1875년에는 다시 독일로 귀국하여 괴팅겐 대학교에 취직하였다.

1892년에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21년 11월 30일 베를린에서 사망하였다.

슈바르츠는 편미분방정식의 해석적 이론 연구에서는 ‘슈바르츠의 함수’를 논하고, 변분법에서는 리만의 존재정리의 증명에 성공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조화함수론의 경곗값 문제에서는 교대법을 안출하였는데, 이것은 실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이론적 의의도 지니는 것이었다.

그 밖에 급수의 수렴성을 논하고, 이른바 ‘슈바르츠의 적분부등식’을 제출하는(1905) 등 해석학의 여러 방면에 걸쳐 공헌하였다. 학창시절 슈바르츠 하면 코시-슈바르츠 부등식으로 우리에게 알려지게 된다.

부등식 단원 중 절대부등식이라는 곳에서 등장하는 코시 슈바르츠 부등식은 자주 출제되는 단골메뉴다.

주어진 집합의 임의의 원소에 대하여 항상 성립하는 부등식을 절대부등식이라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