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빨간색 부분의 넓이를 구해보자.

댓글로 풀이와 답을 남겨 주세요.

반응형
728x90

2024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에서 인문계열로 교차지원한 자연계열 수험생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꾸준히 증가해 온 교차지원 추세는 2024학년도에 더욱 확연해졌습니다.

입시기업 진학사에 따르면 인문계열 모집단위에 지원한 수험생 중 과학탐구 영역 응시자 비율은 28.6%로 2022년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지난해 27%였던 이 수치는 1.6%p 상승한 수치이며, 이는 자연계열 수험생들이 인문계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학교별로는 차이가 존재했습니다.

서울대 인문계열 모집단위 지원자 중 이과 수험생은 46.6%로 2023학년도 54.4%보다 7.8%p 감소했습니다.

반면 고려대는 46.7%에서 59.3%로 증가했으며, 이는 변환표준점수 반영 차이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연세대는 사탐과 과탐 구분 없이 통합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했지만 고려대는 사탐과 과탐에 각기 다른 변환표준점수를 적용하여 과탐 응시자가 더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또한 탐구영역 반영 비율도 연세대 16.7%에 비해 고려대 28.6%로 높아 교차지원이 고려대에서 더 활발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대학 중 교차지원이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성균관대입니다.

2023학년도 20%대였던 교차지원률은 2024학년도 57.9%로 급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성균관대가 과탐의 변환표준점수를 더 높게 적용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선호도가 높은 대학에 진학하고 싶은 수험생의 심리가 바뀌지 않는 한 2025학년도에도 교차지원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2025학년도 정시에서는 경희대·연세대 등 일부 대학에서 인문계열 지원자 중 사탐 응시자에게 가산점을 부여하면서 교차지원 양상에 다소 변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4학년도 대입 정시모집에서 나타난 인문계열 교차지원 급증은 수험생들의 변화하는 선호도와 대학들의 전략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앞으로 대학 입시 환경은 더욱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험생들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728x90

2024학년도 대입부터 학생부 평가 항목 축소와 자기소개서 폐지로 인해 3학년 1학기 활동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지금 바로 본인의 학생부를 점검하고 남은 학기를 계획하세요!

1. 의미 있는 내용 선별하기

  • 단순 활동 나열이 아닌 차별화된 스토리를 보여주는 내용을 선택하세요.
  • 진로와 관련된 구체적인 경험성장 과정을 강조하세요.

2. 학종 평가요소에 따라 범주화하기

  •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 3가지 요소로 분류합니다.
  • 각 요소별 부족한 부분을 파악하고 목표 대학 및 전형 전략을 수립합니다.

3. 3학년 활동 계획하기

  • 기존 활동을 심화하는 방식으로 계획합니다.
  • 내신 관리에도 힘쓰세요.

지금 바로 행동하세요!

  • 학교 선생님에게 학생부 진단을 받아보세요.
  • 목표 대학의 전형 특성과 인재상을 파악하세요.

3학년 1학기, 현명하게 활용하여 성공적인 대입을 준비하세요!

하양짱샘의 팁

  • 3학년 1학기 활동은 1~2학년 활동의 연장선
  • 현재 학생부 점검은 필수!
반응형
728x90

최근 의대 증원 정책으로 수능에 다시 도전하는 N수생(재수생 이상)이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로 성적 향상을 이루는 경우는 절반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수생 절반만 성적 향상

진학사에 따르면, 2024학년도 N수생 3만2473명 중 작년보다 성적이 오른 경우는 49.1%(1만5934명)로 절반을 넘지 못했습니다.

41.7%(1만3547명)는 성적을 유지했고, 9.2%(2992명)는 오히려 성적이 떨어졌습니다.

1등급 학생들은 안정적, 2~3등급 학생들은 성적 향상 어려움

작년 성적이 1등급대였던 수험생 중 80%는 1등급대를 유지했습니다.

반면, 2등급대였던 수험생의 49.1%는 올해도 2등급대를 유지했고, 1등급으로 올린 경우는 39.9%에 그쳤습니다.

작년 3등급대 수험생 중에서도 3등급을 유지한 경우가 41.9%였고, 1~2등급으로 올린 경우는 47.9%였습니다.

탐구 영역에서 등급 상승 가장 많아

등급을 올린 수험생이 가장 많은 과목은 탐구 영역이었습니다.

작년 탐구 2등급대였던 수험생 중 40.1%가 올해 성적을 1등급대로 올렸고, 3등급대와 4등급대에선 각각 54.8%, 64.7%의 등급이 올랐습니다.

점수대별 성적 향상 과목 차이

수험생의 점수대에 따라 재수했을 때 성적을 올린 과목이 달랐습니다.

작년 2~3등급대 수험생들은 수학-국어-영어 순으로 성적이 많이 올랐습니다.

반면 4등급대는 국어-영어-수학 순, 5~6등급대는 영어-국어-수학 순으로 성적이 많이 올랐습니다.

무조건 재수 선택하기보다 신중하게 결정해야

N수를 시작할 땐 누구나 더 나은 결과를 얻기 기대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경우도 많습니다.

무조건 재수를 선택하기보다 자기 학습 수준이나 목표, 성향 등을 잘 진단한 뒤 결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바른학습법과 목표, 성향을 코치해 줄 선생님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하양 짱샘과 함께 합시다.

 
반응형
728x90

수능 최저기준, 걱정 마! 아직 기회는 남아있어!

2025학년도 대입부터 연세대와 한양대 학생부교과전형에도 수능 최저기준이 도입된다는 사실은 많은 학생들에게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하지만 아직 수능 없이도 꿈의 대학에 합격할 수 있는 기회는 남아있습니다!

수능 없이 합격 가능한 대학은 어디일까요?

1. 학생부교과전형

전국적으로 37%의 대학이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수능 최저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서울지역에서는 무려 71%의 대학이 최저기준을 적용합니다. 하지만 광운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고교추천), 명지대학교(지역균형), 서경대학교(교과우수), 성공회대학교, 한성대학교(지역균형) 등 서울지역 6개 대학은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수능 최저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오로지 학생부교과 성적만으로 선발합니다. 또한 명지대학교(교과면접)와 이화여자대학교는 교과 성적과 면접 결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합격자를 선발합니다.

 
지역
모집인원(명)
최저기준 적용
최저기준 미적용
소계
서울
7,609
3,093
10,702
인천·경기
4,579
7,643
12,222
강원
1,822
5,648
7,470
대전·세종·충남
6,430
19,118
25,548
충북
1,577
7,466
9,043
대구·경북
7,343
10,257
17,600
부산·울산·경남
9,821
11,900
21,721
광주·전남
4,174
9,027
13,201
전북
2,289
5,139
7,428
제주
984
183
1,167
46,628
79,474
126,102

2. 논술전형

논술전형에서도 수능 최저기준 없이 합격할 수 있는 대학들이 있습니다.

연세대학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등 17개 대학은 논술 성적만으로 합격자를 선발하며, 자연계열 논술전형 선발인원은 인문계열 대비 2배 가까이 많습니다.

이는 자연계열 학생들에게 더 유리한 환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학 전형요소별
반영 비율(%)
모집 인원(명) 수능 최저 기준 적용 여부
논술 학생부 인문 자연 예체능
가톨릭대 80 20 75 103 - △(간호,약학,의예 적용)
경기대 60 40 130 - - x
경기대(서울) 60 40 31 - 6 x
광운대 70 30 67 117 - x
단국대 80 20 134 176 - x
상명대 90 10 43 40 2 x
서울과기대 70 30 - 187 - x
서울시립대 70 30 - 74 - x
수원대 60 40 145 295 10 x
아주대 80 20 26 124 - △(의예 적용)
연세대 100 - 97 254 - x
을지대 70 30 24 143 - x
인하대 70 30 163 295 - △(의예 적용)
한국공학대 80 20 24 266 - x
한국기술교대 100 - 26 144 - x
한신대 60 40 132 100 - x
한양대 90 10 57 113 4 x
소계 1174 2431 22  
 
 

수능 없이 합격 가능한 대학, 그 특징은?

  • 경쟁률 높음: 수능 최저기준 없이 합격 가능한 대학은 지원자가 몰리기 때문에 경쟁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지방 학생들에게 기회: 수능 성적에 대한 부담이 적기 때문에 지방 학생들에게도 합격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대학마다 다른 학생부 반영 방법, 전년도 입시결과 변경사항 확인 필수: 지원 전에 각 대학의 입시 정보를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수능 없이 합격하기 위한 전략

  • 교과 성적 우수 유지: 수능 최저기준 없이 합격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교과 성적이 필수적입니다.
  • 논술 실력 강화: 논술전형을 통해 합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논술 학습이 필요합니다.
  • 면접 준비: 면접 전형을 도입하는 대학의 경우, 면접 질문 유형을 미리 파악하고 자신감 있는 답변을 준비해야 합니다.

하양짱샘수학과 함께 꿈을 향해 나아가세요!

하양짱샘수학은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과 목표에 맞는 맞춤형 수업을 제공하며, 핵심 개념 이해부터 응용 문제 풀이까지 단계별 학습을 지원합니다. 또한, 면밀한 지도와 체계적인 학습 시스템으로 학생들의 수능 성적 향상을 도모합니다.

반응형
728x90

거의 모든 일을 휴대폰 하나로 해결할 수 있는 세상이 됐다.

전화통화를 하고 문자메시지를 주고 받던 간단한 기능에서

최신 뉴스를 확인하고, 원하는 영상을 보고, 음악을 듣고, 게임도 한다.

하지만 이런 다양한 기능 덕에 하루에도 몇 시간씩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되면서

건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됐다.

최근 미국 하버드대 공중보건전문가 아디티 네루르카르 박사는

「우선순위의 법칙」의 저자 스티븐 바틀렛이 진행하는

팟캐스트 ‘The Diary of a CEO’에 출연해

뇌 건강을 해칠 수 있는 휴대폰 사용 습관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스트레스와 불안이 가득한 삶을 살고 싶다면

“한밤중 휴대폰을 켜서 밝기 설정을 높인 다음,

모든 소셜미디어 및 뉴스 플랫폼을 끊임없이 훑어보고

세계 여기저기서 벌어지는 끔찍한 일을 보여주는

이미지와 영상을 새벽 4~5시까지 보라”고 말했다.

네루르카르 박사가 말한 우리의 일상을 망치고

뇌 건강을 해치는 휴대폰 사용 습관을 영국 일간 ‘더미러’가 소개했다.

1. 한밤중에 휴대폰을 사용한다

밤늦게까지 휴대폰을 들여다보면 긴장을 풀고 숙면을 취하는 데 방해가 된다.

네루르카르 박사의 설명에 의하면,

휴대폰으로 수많은 컨텐츠를 확인하려는

우리의 욕구는 위험을 탐지하려는 ‘원초적인 욕구’이며,

이는 스트레스를 받는 데서 비롯된다.

때문에 잠자리에 들기 전 휴대폰을 내려놓고 긴장을 풀 수 있는 일을 하며

스트레스를 가라앉혀야 불쾌한 뉴스를 읽으며 몇 시간씩 낭비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오늘날에는 기후 재앙이나 특정 지역에서의 분쟁 등 나쁜 뉴스가 끊이질 않는다.

정보의 흐름이 전례 없이 빠른 지금

많은 사람들이 끊임없이 휴대폰을 스크롤하며 위험을 찾아 다니고 있다.

2. 휴대폰을 너무 자주 확인한다

전화를 걸 것도 아니고, 답해주어야 할 메시지도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수시로 휴대폰을 확인한다.

네루르카르 박사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그리고 잠자리에 들기 전 휴대폰을 자꾸 확인하다 보면

‘휴대폰 의존성’이 생겨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들이 하루에 휴대폰을 평균적으로 2600번 확인하며,

62%의 사람들이 아침에 일어난 후 15분 이내에 휴대폰을 확인하고,

50%가 한밤중 휴대폰을 확인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습관을 없애려면 휴대폰 사용 시간을 하루 20분으로 제한하고,

필요한 경우 타이머를 설정해 그 시간 동안 집중해서 사용하고 내려놓을 것을 권했다.

3. 불안감을 주는 자극적인 컨텐츠를 본다

소셜미디어와 뉴스 플랫폼에는 전쟁, 기후 재난,

사람들간의 갈등을 비롯해 불안감을 조장하는 컨텐츠가 가득하다.

네루르카르 박사는 “휴대폰의 그래픽 이미지와 영상이 투쟁-도피 반응을 유발하고

간접적 트라우마를 일으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정신건강 질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며

“수천 마일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는 일이더라도 이러한 컨텐츠를 소비할 때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악순환의 연속이다.

이런 내용을 더 많이 접하게 될수록 편도체가 흥분하고

스크롤하고 싶은 원초적인 충동이 걷잡을 수 없게 되며,

그럴수록 불안감으로 인해 계속해서 컨텐츠를 소비하게 되기 때문이다.

 
반응형
728x90


최악 불수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향지원이 두드러졌습니다.

1. 상위 15개 대학의 평균 경쟁률은 5.49대1로 지난해 5.18대1보다 상승했습니다.
2018학년까지는 모집인원 축소로 인해 경쟁률이 상승했으나, 2020학년부터는 정시 모집인원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올해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를 포함한 9개교의 경쟁률이 상승했고, 이외 6개교는 하락했습니다.

 

2. 경쟁률 상승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분석됩니다.
올해 수능이 어려웠던 영향으로 소신지원한 수험생이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재수를 불사하는 고득점 재학생과 최상위 대학을 노리는 N수생의 소신지원이 더해졌습니다.
과탐에서 제한을 없앤 것이 자연계 경쟁률 상승의 가장 큰 이유로 분석됩니다.

 

3. 다군 모집 대학의 경쟁률이 높습니다.
다군 모집 대학은 상위권 수험생이 다군 선택지로 선택하기 때문에 매년 높은 경쟁률을 기록합니다.
올해는 성균관대학교가 다군 모집에 합류하면서 다군 경쟁률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4. 대학별 최고 경쟁률 모집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앙대학교: 다군 전자전기공학 (28.42대1)
서울대학교: 나군 광고홍보 (6.63대1)
고려대학교: 가군 정치외교 (6.5대1)
연세대학교: 가군 경영 (6.4대1)


5. 눈치작전이 여전히 심했습니다.
신설 전형인 교과우수는 전년 데이터가 없어 마감직전까지 지원을 주저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서울대학교 소비자는 마감직전 1.3대1에서 7.6대1로 마감했고, 사회복지는 1.33대1에서 6.5대1로 마감했습니다.

 

6. 경쟁률 하락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분석됩니다.
건국대학교: 군별 모집 인원 조정으로 인해 하락
인하대학교: 군별 모집 인원 조정으로 인해 하락
서강대학교: 모집 인원 감소로 인해 하락
동국대학교: 군별 모집 인원 조정으로 인해 하락
서울시립대학교: 군별 모집 인원 조정으로 인해 하락
이화여자대학교: 군별 모집 인원 조정으로 인해 하락


7. 전체적으로 올해 정시 모집은 불수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상향지원이 두드러졌으며, 다군 모집 대학과 신설 전형의 경쟁률이 높았습니다.

반응형
728x90

n개의 양수가 있을 때, 이들 수의 곱의 n제곱근 값을 기하평균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 알수 있듯 기하에서 유래 된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combi{\left(\combi{\prod _{i=1}^n\combi{a}_i}\right)}^{\frac{1}{n}}=\combi{\left(\combi{\combi{a}_1}\cdot \combi{\combi{a}_2\combi{\cdot \combi{a}_3}}\cdot \cdot \cdot \combi{\combi{a}_n}\right)}^{\frac{1}{n}}$(ni=1ai)1n=(a1·a2·a3···an)1n
$=\sqrt[n]{\combi{\combi{a}_1}\cdot \combi{\combi{a}_2\combi{\cdot \combi{a}_3}}\cdot \cdot \cdot \combi{\combi{a}_n}}$=na1·a2·a3···an

만약 세 개의 양수 a1, a2, a3가 주어졌다고 하면 세 수의 곱의 세제곱근값이 기하평균인 것이죠. 마찬가지로 n개의 양수 a1, a2, a3 … an이 있을 때, 이들 수의 곱의 n제곱근 값이 기하평균이 됩니다.

아래와 같이 가로 16m, 세로 2m, 높이 2m 크기의 직육면체가 있습니다.

이 직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면 16x2x2=64㎥가 된다.

이 직육면체와 부피가 같은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x라고 하면, 정육면체의 부피는 x3이 됩니다. 

이때 x의 값을 구하기 위해 방정식을 풀면 다음과 같습니다.

$\combi{x}^3=64$x3=64
$x=\sqrt[3]{64}$x=364
$x=4$x=4

 

이렇게 한 모서리의 길이가 4m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구하면, 4x4x4=64㎥로 직육면체의 부피와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 4를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인 16, 2, 2라는 세 수의 기하평균이라 합니다.

기하평균은 넓이, 부피, 비율 등 곱으로 이루어지는 값들의 평균을 구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직사각형의 넓이를 결정하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의 기하평균은 동일한 넓이의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의미하고, 직육면체의 부피를 결정하는 가로, 세로, 높이 세 값의 기하평균은 동일한 부피의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이를 응용하면 최근 3년간의 물가상승률의 기하평균을 구함으로써, 한 해의 평균적인 물가상승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물건의 값이 처음에 1000원 이고, 첫 해에 10% 증가하고, 그 다음 해에 20% 증가하고, 그 다음 해에 15% 감소했다고 할 때 결과 값은 처음의 값 1000원에 1.1, 1.2, 0.85의 기하평균을 세 번 곱한 값이 됩니다. 

1.1, 1.2, 0.85의 기하평균 (1.1 × 1.2 × 0.85)1/3 = 1.0391...이므로, 3년동안 평균 3.91%씩 증가한 셈입니다. 

즉, 1000 × 1.1 × 1.2 × 0.85 = 1000 × (1.0391)3 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