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0. 어느 음식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80%는 A메뉴를 주문한다고 한다. 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100명 을 임의 추출하여 조사할 때, A메뉴를 주문하지 않을 비율이 26% 이상일 확률을 아래 표준정규분포표를 이용하여 구한 것은? [5.0점]

Z

P ( 0 ≤ Z ≤ x )

0.5

0.1915

1.0

0.3413

1.5

0.4332

2.0

0.4772

 

sol) 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고객 중 A메뉴를 주문하지 않을 확률은 1-0.8 = 0.2 그러므로 이 음식점을 이용한 고객 중 임의 추출한 100명에서 A메뉴를 주문하지 않을 비율을 p라 하면,

$E\left(\hat{p}\right)=0.2,\ V\left(\hat{p}\right)=\frac{0.2\times 0.8}{100}=\combi{0.04}^2$E(^p)=0.2, V(^p)=0.2×0.8100=0.042

이므로 표본비율 p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 N(0.2, 0.042)을 따른다.

이때

$Z=\frac{\hat{p}-0.2}{0.04}$Z=^p0.20.04

로 놓으면 확률변수 Z는 근사적으로 표준정규분포 N(0,1)을 따르므로 구하는 확률은

$P(\hat{p}\ge 0.26)$P(^p0.26)

$=P(Z\ge \frac{0.26-0.2}{0.04})$=P(Z0.260.20.04)

$=P(Z\ge 1.5)$=P(Z1.5)

$=0.5-0.4332$=0.50.4332

$=0.0668$=0.0668

반응형
728x90

좌표 평면 위의 원점(0 , 0)에서 직선

3x-y+2-k(x+y)=0 까지의 거리의 최댓값은? (단, k는 실수이다.)

2007년 교육청 출제 문제입니다.

우선 정석 풀이 부터 보겠습니다.

원점과 직선사이의 거리는

이 거리가 최댓값이 되려면, 분모가 최소가 되어야 하겠죠?

그러므로 원점에서 직선까지의 최댓값은

가 됩니다.

그런데 좀 다르게 생각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728x90

수학에서, 다각수(多角數, 영어: polygonal number)는 삼각수와 정사각수를 임의의 정다각형에까지 일반화하여 얻는 평면 도형수입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 피타고라스학파는 “모든 것은 수이다”라 생각하여 모든 것을 수와 관련지어 생각했습니다. 심지어 도형도 숫자를 이용하여 표현하고 그 도형과 수와의 관계도 연구하였습니다.

기하학적으로 다각수는 정다각형에 배열된 공의 수를 나타냅니다. 주어진 다각수 바로 다음에 오는 다각수를 얻으려면 다각형의 이웃하는 두 변의 길이를 늘려 원래와 닮은 새로운 다각형으로 확장하면 됩니다. 이 경우 늘리려는 두 변에 각각 한 개의 공이 추가되며, 새로운 다각형의 남은 변을 만들기 위한 공들 역시 추가됩니다. 이렇게 추가되는 부분을 다각수의 그노몬(영어: gnomon)이라고 부릅니다. 대수학적으로, 다각수는 1에서 시작하는 자연수 공차의 등차 수열의 부분합을 나타내며, 그노몬은 이 등차 수열의 각 항에 대응합니다.

먼저 삼각수를 보겠습니다.

삼각수는 간단히 말하자면, 동일한 물건을 정삼각형 모양으로 배열해서 나타낼 수 있는 수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 때 각각의 정삼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즉 1, 3, 6, 10, 15···에서 각각의 수가 삼각수에 해당하지요.

삼각수(Triangular number)

그럼 사각수는 어떤 것일까? 사각수는 말 그대로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해서 나타낼 수 있는 수랍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때 각각의 정사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즉 1, 4, 9, 16, 25···에서 각각의 수가 사각수에 해당합니다.

사각수(Square number)

위의 삼각수와 사각수를 이해했다면 오각수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점의 수를 늘려가면서 정오각형 모양의 배열을 계속해서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이 때 각각의 정오각형 모양의 배열을 만드는 점의 수로 이루어진 수들 1, 5, 12, 22, 35, ···에서 각각의 수가 오각수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오각수(Pentagonal number)
육각수(Hexagonal number)

다각수의 첫 항은 1로 모두 같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첫 항을 제외하고 그 다음으로 삼각수와 사각수가 같아지는 항들을 찾을 수 있을까요? 일반항을 이용하면 8번째 삼각수가 36이므로 6번째 사각수와 같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삼각수이면서 동시에 사각수인 수를 모두 찾을 수있을까요? 더 나아가 사각수이면서 동시에 오각수인 수를 찾을 수 있을까요? 또 그 개수는 얼마나 많을까요? 먼저 삼각수와 사각수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m번째 삼각수와 n번째 사각수가 같다고 하면,

이 되고, 완전제곱식의 형태로 고쳐 봅니다.

여기서,

라고 하면,

(단, x, y >0 이고 x는 홀수, y 는 짝수)

의 자연수해를 구하는 문제로 바뀐다. 이 방정식을 펠의 방정식이라고 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