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학년도 서울대 수시 미등록 인원이 작년보다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자연계열 미등록자가 88%를 차지하며 최상위권 수험생의 의과대학 쏠림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수시 합격자(추가합격자 포함) 중 미등록한 인원은 총 228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해 194명보다 34명 증가한 수치입니다. 자연계 미등록자는 200명으로 전체의 87.7%를 차지했습니다. 정부의 첨단분야 육성 방침에 따라 신설된 서울대 첨단융합학부도 18명의 미등록자가 발생하며 추가모집을 진행해야 했습니다.

반면 고려대와 연세대는 작년보다 수시 미등록 인원이 소폭 줄었습니다.

고려대 미등록자는 2305명, 연세대 미등록자는 1390명으로 각각 3.2%, 3.4% 감소했습니다. 이는 상향 지원으로 복수 합격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됩니다.

계열별로는 인문·사회계열 합격생 중 1584명, 자연계열 합격생 2318명이 미등록했습니다.

이는 각각 모집정원의 52.6%, 63.1%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학과별로는 의대와 서울대의 강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서울대 의예과는 미등록자가 1명도 없었지만 연세대 의예과는 24명, 고려대 의과대학은 70명의 미등록자가 발생했습니다. 서울대 경영학과 미등록률은 0%, 서울대 경제학부 미등록률은 1.4%로 나타났습니다.

종로학원은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의 ‘수시 이월 인원’은 지난해 318명보다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올해 수시 추가 합격 인원이 지난해보다 소폭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 분석

  • 최상위권 수험생의 의과대학 쏠림 현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정부의 첨단분야 육성에도 불구하고 의대의 인기는 여전히 높습니다.
  • 상향 지원으로 인해 복수 합격이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 시사점

  • 수험생들은 다양한 진로를 고려하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학부모들은 자녀의 성향과 능력을 파악하여 적절한 진로 상담을 제공해야 합니다.
  • 대학들은 다양한 학과를 설치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를 지원해야 합니다.

 

 

반응형
728x90


수학 천재로 양자물리학, 우주 여행 등 과학기술에서 선구적 비전을 제시해온 프리먼 다이슨(Freeman Dyson)이 2020년 2월 28일 향년 96세로 타계했다.

다이슨은 양자 전기역학(quantum electrodynamics) 이론에 공헌한 영국계 미국인 물리학자로 프린스턴(Princeton) 명예 교수이자 다양한 과학 단체의 회원이었다.

다이슨의 죽음은 그의 딸 미아 다이슨(Mia Dyson)에 의해 뉴저지 프린스턴 최고 연구기관인 IAS(Institute of Advanced Study)를 통해 발표됐다. IAS는 과학계 거장 엘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로버트 오펜하이머(J. Robert Oppenheimer) 등이 몸담았던 곳이다.

발표에 따르면 다이슨은 1953년부터 1994년까지 근무했던 IAS 정기 방문 중 실수로 넘어지면서 부

상을 입었고, 금요일 아침 병원에서 사망했다.

IAS의 레온 레비(Leon Levy) 디렉터 로버트 디크그라프(Robbert Dijkgraaf)는 “(다이슨은) 현대 입자 물리학, 자유 수학자, 우주 여행 옹호자, 우주 생물학 및 군비 해체, 미래 학자, 영원한 대학원생”이라며 “사려 깊은 아이디어로 많은 선입견에 반항했다. 항상 인간 현장을 현명하게 관찰하는 수필가였다. 그의 비밀은 단순히 끝까지 인생의 모든 것을 긍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슨은 1923년 12월 15일 영국 버크셔에서 태어나 17세에 케임브리지대 트리니티 칼리지에 입학했다. 제 2차 세계 대전 중에 그는 학계에서 선발된 왕립 공군의 과학자로 일했다. 전쟁 후, 그는 캠브리지로 돌아와 학위를 마쳤다.1947년, 그는 코넬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 미국으로 이주, 뉴 멕시코 로스알라모스에서 미국의 비밀 핵폭탄 연구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선구자 핵 물리학자 한스 베쓰(Hans Bethe)와 함께 공부했다.

다이슨은 입자 물리학 및 천체 물리학에서 우주 여행, 생물학 및 기후 변화 등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수학적 역량을 발휘했다.

맥스 테그마크(Max Tegmark) MIT 물리 및 AI 교수는 “다음 달에 프리먼 다이슨을 다시 방문 할 계획이었고, 오늘 우리가 이 과학의 거장을 잃어버린 것에 대해 슬프다. 그에게 너무 크거나 너무 거친 아이디어는 없었으며, 가장 작은 빌딩 블록을 알아내는 데 있어 주요한 주류 연구 외에도 별 빛을 수확하는 다이슨 구(Dyson spheres)를 착안, 우리의 원거리 과학에 대한 최초의 철저한 과학적 분석을 발표했다”고 SNS 링크드인에 밝혔다.

이어 테그마크는 “그의 가장 큰 공헌은 아원자 입자와 파인만 다이어그램(Feynman diagrams)의 구불구불한 선과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는 수학적 공식을 통합한 것”이라며 “노벨상 수상자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는 우주가 이해하기 쉬울수록 무의미 해 보인다고 말한 반면 프리먼은 훨씬 더 낙관적이었다. 비록 그는 우리 우주가 무의미하다는 데 동의했지만, 생명체가 우주를 통해 퍼져 나가면 인생이 이제는 더 많은 의미로 채워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동의한다”고 밝혔다.

미아 다이슨은 “당신은 세상이 그의 눈을 통해 아름다운 곳이라고 말할 수 있었고, 물리학 연구를 통해 모든 공식과 자연 법칙 및 모든 신비를 이해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저서로는 《상상의 세계》 (Imagined Worlds)

《에로스에서 가이아까지》 (From Eros to Gaia)

《프리먼 다이슨, 20세기를 말하다》(Disturbing the Universe)이 있다.



반응형
728x90


서구문명 움직인 힘은? 바로 수학!


Morris Kline (1953). Mathematics in western culture. 박영훈 역(2005). 경문사






고대 그리스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기원전 211년 고향 시라쿠사가 로마군에게 함락될 때 땅바닥에 도형을 그려놓고 기하학 연구에 몰두하다가 점령군에게 살해됐다. 문명과 야만을 대비할 때 자주 쓰는 일화다.

저자는 이 사건을 색다른 각도에서 해석한다. 이론 수학에 관심을 쏟은 그리스는 창조적이며 풍요로운 정신문명을 이룬 반면, 이론 수학을 몽상적이라고 비웃고 토목공사를 위한 실용 수학만 챙긴 로마는 모방적이며 정신적으로 빈곤했음을 대비하는 사례로 본다.

그러면서 저자는 "수학은 문명의 성장 퇴조와 함께 자라고 소멸하는, 살아있는 식물"이라고 강조한다. 서구에서 수학은 철학.물리학.종교.예술 등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함께 발전해왔다는 주장이다. 이 책은 저자의 이런 주장이 '참'임을 세밀하게 보여주는 증거를 담았다. 수학이 서구문명의 동력이었음을 보여주겠다는 그의 의도가 책의 처음과 끝을 관통한다.


서구 문화 속에 숨은 '수학 코드' 를 찾는 즐거움도 준다. 예를 들면 르네상스 시대 그림에 원근법이 적용된 것은 수학적으로 삼차원인 실제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겠다는 의도에서 비롯됐다고 한다. 이렇듯 자연의 실제 질서를 바탕으로 이성과 합리를 추구하는 것이 수학의 기본 정신이라는 것이다. 이 정신은 뉴튼으로 상징되는 서구 근대사상을 형성하는 초석이 됐다는 저자의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이 있다.


저자는 클라인은 뉴욕대학 쿠란트 수학연구소의 명예교수다. 수학의 역사와 철학, 수학 교수법과 관련하여 많은 저서를 남겼고 수학의 대중화에도 크게 이바지했다. 클라인은 이 책을 통해 인류 역사의 한 거대한 단면으로, 그리스 사회조직과 연관해 출현한 연역법으로, 유클리드기하학의 형식과 절차에서 비롯된 이성의 힘으로, 자연에 대한 합리적 해석의 도구로, 로마인의 사고방식과 교회의 신비주의가 질식시킨 인류의 지성과 창조적 정신으로, 그리고 가톨릭의 주장과 충돌하며 결합하는 피타고라스의 물리적 세계의 근본으로 수학을 이해하도록 설명함으로써, 즉 문명의 형성과 발전 곳곳에 수학이 어떻게 자리 잡았는지 자신의 해박한 지식을 동원해 설파함으로써, 사람의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수학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이는 곧 인류 문명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자신의 수학관이다.

1953년 초판이 나온 책이지만 수학이라는 메스로 서구문명을 해부한 시도는 지금도 신선해 보인다.



수업중에 학생들은 “수학을 배워서 어디다 써요? 편의점 아저씨가 더하기 빼기만 할줄 알면 되다고하던데요. 다른건 사는데 아무 필요없다고..."하고 묻는다. 

이에 대한 나의 답은 “수학은 배운만큼 쓴다. 더하기 빼기만 배운 사람은 더하기 빼기만 쓰고, 미적분을 배운 사람은 미적분까지 쓰며 산다."이다.

그런대답에 학생들은 되묻는다.

"그런거 안쓰고도 살수 있잖아요?"

"응. 살수있지. 우린 모두 밥먹고 잠자고 똥, 오줌 싸면서 동굴에 살아도 살수있어. 티비 보지않아도 게임하지 않아도 살수있어."


내가 이 책을 일찍이 읽었더라면 수학의 아름다움과 필요성을 좀더 부드럽게 알려 줄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반응형
728x90

1. 프레임

태양광 자동차는 가벼워야 하지만 또한 모터, 본체 상단, 변속기 등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튼튼해야 한다. 가벼우면서 튼튼한 재료를 사용한다.


2. 무게 분산

 차체의 하중이 어느 부분에 집중되었을 때 바퀴가 미끄러지지 않고 마찰력을 크게 하여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한다.


3. 바퀴

태양광 자동차의 설계에서 마찰을 크게 해야 할 부분과 최소화 시켜야 할 부분이 있다. 

바퀴의 경우 마찰을 크게 해야 한다. 바퀴에 돌기를 만들어 큰 견인력을 발생시키고 열 에너지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시켜준다. 또, 바퀴의 축와 본체사이에는 마찰을 최소화 해서 에너지의 손실을 막는다.


4. 외형

공기역학적으로 저항이 가장 적은 형태를 유지한다.


5. 태양전지

계절 및 지역에 따라 태양의 남중고도가 바뀌기 때문에 설치 각도를 융통성 있게 결정해야 한다. 

설치 각도는 ‘90도-태양의 남중고도’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다. 

 태양전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1) 가급적 많은 빛이 반도체 내부에서  흡수되도록 하고, 2)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와 정공 쌍이 소멸되지 않고 외부 회로까지 전달되도록 하며,

3) P-N접합부에 큰 전기장이 생기도록 소재 및  공정을 설계해야 한다.


또한 반사체를 이용해 태양전지판으로 태양광이 집중하도록하는 방법도 좋다.



반응형
728x90

두 개의 양수 a, b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데에는, 모두들 알고 있는 것처럼, a, b를 소인수분해하면 됩니다.

그러나 이것도 우리가 책상 위에서 종이와 연필만으로 큰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것은 그리 간단히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양수 a, b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데에, 좀 더 실질적인 방법은 “유클리드의 호제법" 입니다.

그럼 #유클리드 호제법은 어떤 것인지 알아봅시다.

a ≥ b이고, a를 b로 나눈 몫을 q, 나머지를 r이라 하면.

a=bq+r, 0≤ r <6 입니다. 이 때, 만약 r = 0이라면, 즉 a가 b로 나누어떨어지면, b가 a와 b의 최대공약수입니다.

또, 만약 r >0이면, 위의 식에서 r=a-bq이므로, e를 a, b의 임의의 공약수라 하면, 우변의 a-bq가 e로 나누어떨어지고, 따라서 r이 e로 나누어 떨어집니다.

그러므로 e는 b와 r의 공약수가 됩니다.

한편, e'를 b, r의 임의의 공약수라 하면, a=bq+r이라는 식에서 e`는 a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고, 따라서 e'는 a, b의 공약수가 됩니다. 이것으로 a와 b의 공약수는 b와 r의 공약수이고, 역으로 b와 r의 공약수는 a와 b의 공약수임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a, b의 공약수 전체의 집합”은 “b, r의 공약수 전체의 집합” 과 일치합니다. 이것으로부터 특히

(a, b의 최대공약수) = (b, r의 최대공약수)

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에 b를 r로 나눈 나머지를 r1라 하고, 위에서 설명 한 것과 같은 형태의 이유로, r1=0이라면 r이 b와 r의 최대공약수가 되고, r1> 0 이라면

(a, b의 최대 공약수)

= (b, r의 최대공약수)

= (r, r1 의 최대공약수)

가 됩니다. 이 방법을 나누어 떨어질 때까지 계속하면, 유한번의 나눗셈에 의해서 반드시 a, b의 최대공약수를 구 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이 유클리드의 호제법입니다. 이것은 옛날부터 알려져 있는 유명한 방법입니다. 유클리드의 “원론" 이라는 책 속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한 예로서, 247과 962의 최대공약수를 유클리드의 호 제법에 의해 구해 봅시다.

나머지

962 ÷ 247

3

221

247 ÷ 221

1

26

221 ÷ 26

8

13

26 ÷ 13

2

0

따라서 247, 962의 최대공약수는 13입니다.

위의 계산을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쓸 수 있습니다.

$\begin{grid}\cell{0100}247&\cell{0100}3&\cell{0000}962\\\cell{0110}221&\cell{0100}1&\cell{0010}741\\\cell{0100}26&\cell{0100}8&\cell{0000}221\\\cell{0110}26&\cell{0100}2&\cell{0010}208\\\cell{0100}0&\cell{0100}&\cell{0000}13\end{grid}$
2473962
2211741
268221
262208
013

이 계산 방식을 “비(非)자 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보니, 한자의 非자와 닮았습니다.

큰수의 최대공약수를 유클리드호제법으로 구하는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728x90
$\sqrt{1}=1$1=1
$\sqrt{4}=2$4=2
$\sqrt{9}=3$9=3
$\sqrt{16}=4$16=4
$\sqrt{25}=5$25=5
$\sqrt{36}=6$36=6
$.$.
$.$.
$.$.
$\sqrt{100}=10$100=10
$$

이런 모습의 제곱근은 소인수 분해로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곱근 표의 근사치 값들은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요? 그걸 다 외울 수도 없고 그 근사치값을 쉽게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qrt{17}\approx 4.XXX$174.XXX

① 근호안의 숫자를 소수점을 기준으로 두 자리씩 나눕니다. 102 = 100 이므로 두자리 씩 나누는것입니다.

$\sqrt{17\ .\ 00\ 00\ 00\ 00\ 00}$17 . 00 00 00 00 00

② 소수점 두 자리씩의 숫자의 맨 왼쪽 수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의 제곱근을 찾습니다.

52 = 25, 42 = 16이므로, 17을 넘지 않는 최대의 제곱근은 4입니다. 아래와 같이 4를 17위에 적고, 왼쪽에 4를 적고, 그 밑에 똑같이 4를 적습니다. 그리고 두 수를 더한값 8을 아래에 적습니다.

$\ \begin{grid}\cell{0000}&\cell{0000}4&\cell{0000}&\cell{0000}\\\cell{0010}+&\cell{0010}4&\cell{0010}&\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cell{0000}\end{grid}\ \ \ \ \ \ \ \ \ \ \ \ \ \ \begin{grid}\cell{0000}\ &\cell{0010}4&\cell{0010}&\cell{0010}\\\cell{0100}&\cell{0000}17&\cell{0000}00&\cell{0000}00\\\cell{0000}\ &\cell{0010}16&\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1&\cell{0000}00&\cell{0000}\\\cell{0000}\ &\cell{0010}&\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cell{0000}&\cell{0000}\end{grid}$ 
4
+4
8
              
 4
170000
 16
 100
 
 

③ 위 그림에서 처럼 17-16=1 적습니다.

④ 8×가 100을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찾습니다. 82×2=164가 되므로 =1입니다. 이 1을 소숫점을 기준으로 나눈 자릿수에 마추어 적어줍니다.

$\ \begin{grid}\cell{0000}&\cell{0000}4&\cell{0000}\\\cell{0010}+&\cell{0010}4&\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1\\\cell{0010}+&\cell{0010}&\cell{0010}1\\\cell{0000}&\cell{0000}8&\cell{0000}2\end{grid}\ \ \ \ \ \ \ \ \ \ \ \ \ \ \begin{grid}\cell{0000}\ &\cell{0010}4&\cell{0010}1&\cell{0010}\\\cell{0100}&\cell{0000}17&\cell{0000}00&\cell{0000}00\\\cell{0000}\ &\cell{0010}16&\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1&\cell{0000}00&\cell{0000}\\\cell{0000}\ &\cell{0010}&\cell{0010}81&\cell{0010}\\\cell{0000}\ &\cell{0000}&\cell{0000}19&\cell{0000}00\end{grid}$ 
4
+4
81
+1
82
              
 41
170000
 16
 100
 81
 1900

⑤ 19의 오른쪽에 소숫점 두 자리 수를 내려 1900이라 적습니다. 822×2=1644, 823×3=2469이므로 윗줄 1 뒤에 2를 적습니다. 그러면 4.12가 됩니다.

$\begin{grid}\cell{0000}&\cell{0000}4&\cell{0000}&\cell{0000}\\\cell{0010}+&\cell{0010}4&\cell{0010}&\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1&\cell{0000}\\\cell{0010}+&\cell{0010}&\cell{0010}1&\cell{0010}\\\cell{0000}&\cell{0000}8&\cell{0000}2&\cell{0000}2\\\cell{0010}&\cell{0010}&\cell{0010}&\cell{0010}2\\\cell{0000}&\cell{0000}8&\cell{0000}2&\cell{0000}4\end{grid}\ \ \ \ \ \ \ \ \ \ \ \ \ \ \begin{grid}\cell{0000}\ &\cell{0010}4&\cell{0010}1&\cell{0010}2&\cell{0010}\\\cell{0100}&\cell{0000}17&\cell{0000}00&\cell{0000}00&\cell{0000}\\\cell{0000}\ &\cell{0010}16&\cell{0010}&\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1&\cell{0000}00&\cell{0000}&\cell{0000}\\\cell{0000}\ &\cell{0010}&\cell{0010}81&\cell{0010}&\cell{0010}\\\cell{0000}\ &\cell{0000}&\cell{0000}19&\cell{0000}00&\cell{0000}\\\cell{0000}&\cell{0000}&\cell{0000}16&\cell{0000}44&\cell{0000}\end{grid}$
4
+4
81
+1
822
2
824
              
 412
170000
 16
 100
 81
 1900
1644

이같은 방법으로 더 근사한값을 구할수도 있고 다른 제곱근값을 구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728x90

시행

같은 조건에서 반복할 수 있으며, 매번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관찰이나 실험을 말합니다.

사건

시행의 결과로서 나타나는 결과를 사건이라고 하죠.

다시 말해 같은 조건에서 반복할 수 있는 실험이나 관찰에 의하여 나타나는 결과를 사건이라고 합니다.

표본공간의 부분집합.

시행의 결과가 어떤 사건의 원소가 될 때 그 사건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반응형
728x90

# 확률이란 무엇일까?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는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어떤 사건이 일어날 경우의 수의 비율’을 확률이라고 나옵니다.

예를 들어 하양짱샘이 1에서 6까지의 수가 쓰여진 주사위를 한 번 던질 때 나오는 눈의 경우는 1이 나오는 경우, 2가 나오는 경우, … 6이 나오는 경우의 여섯 가지가

있죠.

$3의눈이나올\ 확률=\frac{3의눈이나올경우의\ 수}{모든경우의\ 수}=\frac{1}{6}$3 =3  =16

그러나 이와 같은 비율로 모든 확률이 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윷을 던지는 것을 생각해 볼까요? 윷 한 짝을 던질 때 앞면이 나오거나 뒷면이 나옵니다. 그러므로 모든 경우의 수는 2이므로, 교과서의 정의대로 하면 안면이 나올 확률은1/2이 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경험적으로 안면이 나올 가능성과 겉면이 나올 가능성은 다르다는 것을 알고있습니다. 이것은 안면과 겉면의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죠. 그러므로 교과서에서처럼 확률을 정의하려면 모든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이 같아야 합니다. 즉, 주사위나 동전을 던질 때 혹은 로또복권 추첨처럼 크기와 모양, 무게가 똑같은 구슬을 고를 때와 같은 경우에 교과서와 같은 방법으로 확률이 정해집니다.

윷과 같이 모양이나 크기가 달라서 일어날 가능성이 다른 경우에는 여러 번 던져서 나온 비율로 확률을 정하게 되는데요, 이를 통계적 또는 경험적 확률이라 합니다.

윷의 경우에는 10번 던질 때 앞이 6번 이상 나온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윷 한 짝을 던질 때 겉면이 나올 확률은 0.6 이상이 되죠. 편의상 이 확률을 0.6이라고 할 때, 윷 네 짝을 동시에 던지는 윷놀이를 하면, 도, 개, 걸, 윷, 모가 나올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도가 나올 확률은 0.6×0.6×0.6×0.4×4=0.3456

개가 나올 확률은 0.6×0.6×0.4×0.4×6=0.3456

걸이 나올 확률은 0.6×0.4×0.4×0.4×4=0.1536

윷이 나올 확률은 0.4×0.4×0.4×0.4×1=0.0256

모가 나올 확률은 0.6×0.6×0.6×0.6×1=0.1296

이런 확률을 알고 윷놀이를 하면 놀이를 좀 더 잘 하게 되지는 않을까요?

이처럼 하나의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수로 나타낸 것. 즉, 동일한 원인에서 특정한 결과가 나오는 비율을 뜻합니다.

그럼 다음엔 # 사건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할까요?



반응형

+ Recent posts